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모음

재산세 부과기준 완벽정리

by 오늘의 정보창고 2021. 1. 8.

재산세 부과기준 완벽정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재산세 부과기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요즘 부동산 가격이 엄청나게 상승하면서 양도세와 종부세에 이어 재산세에도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요.

아래에 재산세 부과기준과 재산세에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재산세 무엇인가?

먼저 재산세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말그대로 재산세는 가지고 있는 재산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을 말하는데요. 부동산 뿐만아니라 토지, 건축물, 선박, 항공기 등 다양한 재산에 부과가 됩니다.

납세자는 과세기준일인 6월 1일에 재산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이 납부를 하게되며 토지 및 건축물, 주택의 과세표준은 시가표준액의 100분의 70%, 주택의 경우에는 주택공시가격의 60%를 납부하게 됩니다.

재산세 부과기준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 당시의 재산을 보유하는 기준으로 부과가 되는데요. 보유기간과는 상관없이 해당 일자에 보유한 사람이 1년치 재산세를 납부하는 구조입니다. 

과세의 대상으로는 6개월 이상 존재한 토지, 주택, 건축물, 선박, 항공기가 포함됩니다. 

 

주택 : 부속토지를 포함한 공동주택, 단독주택 등

 

토지 : 나내지, 전/답/과수원 등 농지, 임야, 건축물 부속토지 등

 

건출물 : 주택을 제외한 상가 등 일반 건축물

 

기타 : 항공기, 선박

재산세 납부기간

재산세 부과기준을 아셨다면 재산세 납부기간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재산세는 매년 6월과 9월 1년에 두번에 걸쳐 납부를 하시게 되는데요. 이는 세금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 2번을 부과한다고 합니다.

 

7월 재산세 납부기간

7월은 재산세 납부의 달로 납부기간은 7월 16일 ~ 7월 31일 입니다.

9월 재산세 납부기간

7월에 과세한 재산의 나머지를 9월 16일 ~ 9월 30일에 납부를 하시면 됩니다. 

단 세액이 20만원 이하인 경우는 7월에 모든 세액을 부과합니다.

재산세 계산방법

재산세의 과세표준액 = 시가표준액 x 공정시장가액

 

여기서 시가표준액이란 각종 지방세의 과세 기준을 정하기 위해서 공시된 토지 및 주택의 값을 뜻합니다.

아래 재산세 계산기 사이트를 통해 쉽게 재산세를 계산해 보실 수 있습니다.

[부동산 114 계산기]

재산세 감면 받는 TIP

마지막으로 재산세를 감면 받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첫째,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재산세가 부과되기 때문에 부동산 매입시 잔금 일자를 그 뒤로 조정합니다.

 

둘째, 주택연금에 가입한 경우 매년 25%에 이르는 재산세를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셋째, 업무용 오피스텔을 소유한 경우 시군구청에 주거용으로 신고시 과세표준액과 세율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넷째, 다주택자의 경우 임대사업자등록하면 유리합니다.

 

오늘은 재산세 부과기준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여러분들의 궁금증이 잘 해결됬으면 좋겠습니다.

 

[도움되는 정보글]

[생활정보모음] - 연말정산 자동계산 간단방법

[생활정보모음] - 국민연금 납입기간 알아보기

[생활정보모음] - 국민연금 추납제도 간단정리

[생활정보모음] - 4대보험 가입확인서 1분발급

[생활정보모음] - 2021년 전기차 보조금 축소되나

[생활정보모음] - 신호위반 과태료 간단조회

[생활정보모음] - 개인통관고유부호 발급 방법 완벽정리

[생활정보모음] - 운전면허증 재발급 간단정리

[생활정보모음] - 신혼부부 특별공급 자격 완벽정리

[생활정보모음] - 보청기 국가보조금지원 신청방법 2021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