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연금수령액 계산 방식 간단조회
이번 포스팅은 주택연금수령액 계산하는 방식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또한 주택연금수령액 계산 방식 이외에 가입조건부터 장점까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아래에 주택연금수령액 계산방법과 관련한 내용을 확인해보세요.
주택연금 가입조건
주택연금수령액 계산하기 앞서 먼저 주택연금 가입조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택연금은 부부중 한명이 대한민국 국적이셔야 하며, 부부중 한명이 만 55세 이상이셔야 합니다.
또한 부부기준 9억원 이하의 주택을 소유했을때, 다주택자인 경우 모두 합해서 9억 이하일때 가능하며 9억 초과 2주택 자일때는 3년 이내에 한개의 주택을 판매하셔야 됩니다.
가입시점에서 담보대출이 없는 100% 자기소유의 집을 가지고 계셔야 하고 만약 대출금이 남아있다면 모두 상환 뒤 신청 하실 수 있습니다.
주택연금 장점
1. 평생거주, 평생지급
평생동안 가입자 및 배우자 모두에게 거주를 보장해드립니다.
부부 중 한분이 돌아가신 경우에도 연금감액 없이 100% 동일금액의 지급을 보장해 드립니다.
2. 국가가 보증
국가가 연금지급을 보증하므로 연금지급 중단 위험이 없습니다.
3. 합리적인 상속
나중에 부부 모두 사망 후 주택을 처분해서 정산하면 되고 연금수령액 등이 집값을 초과하여도 상속인에게 청구하지 않으며, 반대로 남으면 상속인에게 돌아갑니다.
4. 세제 혜택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 방식
먼저 즐겨쓰시는 검색창에 [한국주택금융공사]로 검색을 하셔서 상단에 뜬 사이트에 접속을 해주세요.
아래에 한국주택금융공사 접속 사이트를 링크걸어드리겠습니다.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 - 한국주택금융공사 접속 사이트]
1. 메인페이지 중앙에 [주택연금]을 클릭하여 페이지를 이동해주세요.
2. 아래 예상연금을 조회하기 앞서 데이터를 입력해주셔야 하는데요.
주택소유자, 배우자 생년월일, 주택구분, 시세검색, 지급방식 등을 자세하게 기재해 주세요.
이건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 이니 부담없이 데이터를 바꿔가면서 조회를 해보셔도 됩니다.
3. 아파트 시세를 5억원, 나이를 만62세로 조회를 해보니 월지급급이 약112만원 예상 수령액을 조회할 수 있었습니다.
주택연금 정책에 대한 오해
Q. 주택연금에 가입하면 주택의 소유권을 상실한다?
A. 주택연금에 가입해도 주택의 소유권은 가입자로 유지되어 주택의 사용과 처분에 대해서는 가입자분이 자유롭게 결정이 가능합니다.
만약 가입자가 사망시에도
주택연금 잔액 > 주택매각 대금 → 가입자에게 청구하지 않음
주택연금 잔액 < 주택매각 대금 → 차액 상속인 수령
Q. 정부가 부동산 경기 유지 등 정책 목적 실현으로 가입을 권유한다?
A. 정부의 주택연금의 활성화 목적은 고령층의 생활안정을 도모하기 위함입니다. 주택연금은 국가의 재정부담을 최소화하면서 소유주택의 어르신의 경제적 문제를 돕는 제도입니다.
즉 주택연금의 궁극적인 목적은 부동산 경기 유지가 아닌 고령자의 주거 및 생활보장에 있습니다.
Q. 주택가격이 하락하면 다음 세대가 세금부담?
A. 한국주택금융공사는 매년 주택연금을 검토하여 월지급금을 산출하고 있는데 검토시 주택가경상승율, 이자율, 기대수명 등이 포함됩니다. 특수상황이 아닌만큼 이런 경우가 발생할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주택연금 수령액 조회 방식에 대해 알려드렸는데요. 여러분들께 도움이 됬으면 좋겠습니다.
[도움되는 정보글]
[생활정보모음] - 연말정산 신용카드공제 계산법 간단정리
댓글